본문 바로가기

기타394

[UN] 4월 2일 ‘Light It Up Blue(파란빛을 밝히자)' “세계자폐증 인식의 날” [UN] 4월 2일 ‘Light It Up Blue(파란빛을 밝히자)' “세계자폐증 인식의 날” 4월 2일 전 세계 도심이 파란빛으로 물듭니다. 한국의 남산케이블카, 인천국제공항부터 미국의 백악관, 이집트의 피라미드까지 세계적인 명소 1만8천여 곳이 파란 빛을 밝히게 됩니다. 4월 2일 전 세계를 파랗게 물들인 것은 'Light It Up Blue(파란빛을 밝히자)' 라는 캠페인 운동 입니다. 매년 4월 2일은 유엔(UN)이 정한 '세계 자폐증 인식의 날' 자폐성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히기 위하여 지정하였습니다. 파란색=이해와 희망을 상징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거나 반복적인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 - 저마다 다른 특성과 성향 자폐증 진단 인구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 2020. 5. 29.
[4•16 참여연대] 4월 16일 “기억합시다 세월호, 잊지맙시다 영원히” #국민안전의 날 4·16 세월호 참사 이후 주요 기록 2014년 4월16일 청해진해운 소속 카페리선 세월호, 진도 앞바다에 침몰…했습니다. ㅠㅠ 재난 콘트롤타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세월호 승객 전원 구조"라는 해경의 잘못된 보고를 그대로 보도 자료로 만들어 배포 탑승 476명 구조 174명 사망 29명 실종 273명 이준석 선장 등 세월호 선원 구속 민관군 합동 구조팀은 처음으로 선체 내부 시신을 수습 박근혜 전 대통령의 2014년 5월 19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대국민담화 中 청해진해운 실소유주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사망 발표. 2014년 11월 11일 수중수색이 종료됨에 따라 세월호 참사 수습은 선체 인양 단계 넘어감.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 등으로 이준석 선장(69) 징역 36년을 선고 2015년 4.. 2020. 5. 29.
[녹색연합] 4월 4일 “종이 안 쓰는 날 (No Paper Day!)” 4월 4일은 종이 안쓰는 날(No Paper Day!) 2002년 4월4일, 녹색연합은 입니다. 4월5일 식목일, 산에 나무를 심으러 가지 않고도 ‘생명의 나무’를 심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식목일에 심는 나무는 아직 어린 묘목이지만 종이를 쓰지 않고 살릴 수 있는 나무는 30년 이상 햇빛과 물을 머금고 자란 원목이기 때문입니다. 종이를 쓰지 않음으로써 ‘생명’과 ‘평화’를 지켜주십시오. April 4, A4 Free day! No Paper Day! 현대화시대에 컴퓨터, 팩스, 복사기 등 사무기기가 발달하면서 오히려 사무실에서 소비하는 A4 용지는 증가 사무자동화가 애초에 표방했던 ‘종이 없는 사무실’이 아니라 오히려 ‘종이 천국 사무실’로 전락 2000년 말 임업연구원의 통계.. 2020. 5. 29.
[국가보훈처]3월 넷째 주 금요일 “서해수호의 날” 2020년 서해수호의 날 '3월 넷째 금요일' 3월 넷째 주 금요일은 ‘서해수호의 날’ 올해 2020년 3월 27일이 넷째 주 금요일 서해수호의 날은 북한의 도발에 맞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영웅들을 추모하는 법정기념일 북한의 서해도발 중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도발 사건이 핵심사건 1.제 2연평해전 2.천안함 피격 3.연평도 포격도발 게다가 이벤트로 진행한다고 하니 퀴즈푸시고 상품 받아가셔요 ㅎ 2020. 5. 28.
[한국에너지공단]4월 3일 희생자추념일 “잊지말아야 할 제주 4.3 사건” [한국에너지공단]4월 3일 희생자추념일 “잊지말아야 할 제주 4.3 사건” 4월 3일 희생자추념일 “잊지말아야 할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한국현대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극심했던 사건입니다. 2020. 5. 28.
[4•19혁명#국가기록원] 4월 19일 혁명기념일 제정 및 주요내용 4월 19일 제정이유 4·19 혁명 정신을 기리고 4·19 민주이념을 계승·발전시켜 정의사회를 구현하고 희생자 영령을 추모하기 위함 4월 19일 주요내용 - 4·19혁명은 1960년 4월 19일에 학생과 시민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반독재 민주주의 운동 -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를 대대적으로 벌였으며 - 그 결과 이승만대통령이 하야 - 1973년 3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4·19의거 기념일’로 제정 - 1994년 12월 ‘4·19혁명 기념일’로 명칭이 변경 2020.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