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록원4

[4•19혁명#국가기록원] 4월 19일 혁명기념일 제정 및 주요내용 4월 19일 제정이유 4·19 혁명 정신을 기리고 4·19 민주이념을 계승·발전시켜 정의사회를 구현하고 희생자 영령을 추모하기 위함 4월 19일 주요내용 - 4·19혁명은 1960년 4월 19일에 학생과 시민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반독재 민주주의 운동 -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를 대대적으로 벌였으며 - 그 결과 이승만대통령이 하야 - 1973년 3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4·19의거 기념일’로 제정 - 1994년 12월 ‘4·19혁명 기념일’로 명칭이 변경 2020. 5. 28.
[행안부] 4월 22일 새마을의 날 “전세계로 뻗어나가는 지구촌 새마을운동” 4월 22일은 새마을의 날 새마을 운동을 지속적인 추진과 국민의 새마을운동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2011년에 제정된 기념일입니다. 새마을운동조직 육성법 규정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새마을의 날에 적합한 행사 등 사업을 실시하도록 노력하도록 "새마을운동조직 육성법"에 규정하였습니다. 새마을 운동에 대한 역사를 국가기록원 자료를 잠시 살펴보면~~^^ 새마을운동이란 새마을운동은 ‘잘 살아보세’라는 구호가 함축하고 있듯이 ‘가난으로부터의 탈출’을 희망하던 국민의 요구와 국가의 의지가 결합된 잘 살기 위한 운동 입니다. 또한 1970년에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해방과 분단, 4·19혁명과 5·16군사정변 유산들이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산물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2020년 현재 전세계적으로 지도자들은 새마을운동에 .. 2020. 5. 26.
[국가기록원, 특허청] 5월 15일 세종대왕탄신일 “조선시대의 르네상스의 시작” 세종대왕은 서기 1397년 5월 15일 한성부준수방 (지금의 서울 통인동 일대)에서 조선 3대 임금인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셋째아들로 태어나 22살이던 1418년 아버지인 태종의 양위를 받아 조선 4대 임금으로 즉위하였습니다. 세종대왕은 지극한 애민정신과 민본사상에 기초하여 한글반포, 과학기술, 문화 예술, 군사, 외교, 농경, 천문의 발달 등 조선시대의 르네상스를 이룩하였습니다. 세종대왕의 업적 1. 유교정치의 기틀 마련 세종대왕은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유교정치, 찬란한 문화가 이룩된 시대였습니다. 정치적으로 안정되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반적인 기틀을 잡은 시기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집현전을 통해 많은 인재가 양성되었고, 유교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제도가 정비되었으며, 다.. 2020. 5. 11.
[국가기록원] 5월 15일은 스승의 날 기념일 “스승의 날 표현 1위는 선생님 존경합니다” 5월 15일 스승의 날 유래와 의미 • 스승의 날은 스승을 존경하는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고, 교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1982년 기념일로 제정되올 습니다. • 스승의 날은 1963년 충남지역 청소년적십자 단원들이 ‘은사의 날’을 정하고 사은행사를 개최한 것이 시초가 된 것으로알려져 있습니다. • 1964년 청소년 적십자 중앙학생협의회는 5월 26일을 ‘스승의 날’로 지정 되었다가 1965년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로 날짜를 변경되었습니다. • 1973년 스승의 날 ‘국민교육헌장 선포 기념일(12월 5일)’에 통합 되었습니다. • 1982년 교권확립의 해를 맞아 스승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으며, 기념일자도 5월 15일로 환원되었습니다. 5월 15일 스승날의 의미 • ‘스승의 날'은 스승.. 2020.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