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2024년 22회 4,5,6번 사회복지사 1급 기출 문제 해설 및 다운

by 미니멀 블로그 2024. 6. 4.

2024년 제22회 사회복지사1급 자격시험 최종확정정답.pdf
0.06MB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1교시 A형.hwp
0.11MB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2교시 A형.hwp
0.08MB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3교시 A형.hwp
0.08MB

출처 큐넷



문제 4

 

스키너(B. Skinn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화계획 중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가변비율(variable-ratio) 계획이다.

② 정적 강화물의 예시로 음식, 돈, 칭찬 등을 들 수 있다.

③ 인간행동은 예측가능하며 통제될 수 있다고 본다.

④ 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을 강조한다.

⑤ 부적 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단어 풀이

  • 강화계획: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물을 주는 일정한 방법.
  • 정적 강화: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자극을 주는 것.
  • 부적 강화: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부정적인 자극을 제거하는 것.
  • 반응율: 특정 행동이 나타나는 빈도.
  • 가변비율 계획: 일정하지 않은 횟수의 행동 후에 강화물을 제공하는 방식.

해설

이제 각 보기를 살펴보면서 어떤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강화계획 중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가변비율(variable-ratio) 계획이다.

이 설명은 옳습니다. 가변비율 계획은 가장 높은 반응율을 유발합니다. 예를 들어, 도박 기계는 가변비율 강화계획을 사용하여 매우 높은 반응율을 보입니다.

 

정적 강화물의 예시로 음식, 돈, 칭찬 등을 들 수 있다.

이 설명도 옳습니다. 음식, 돈, 칭찬은 모두 정적 강화물의 예입니다.

 

인간행동은 예측가능하며 통제될 수 있다고 본다.

이 설명도 옳습니다. 스키너는 행동주의자로서 인간행동이 강화와 벌을 통해 예측가능하고 통제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을 강조한다.

이 설명은 틀렸습니다.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보다는 행동의 강화와 벌을 통한 학습에 초점을 맞춥니다. 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을 강조하는 것은 인본주의 심리학의 특징입니다.

 

부적 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이 설명도 옳습니다. 부적 강화는 불쾌한 자극을 제거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킵니다.

 

 

정답: ④



문제 5

 

학자와 주요 개념의 연결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로저스(C. Rogers) - 자기실현 경향성
ㄴ. 벡(A. Beck) - 비합리적인 신념
ㄷ. 반두라(A. Bandura) - 행동조성
ㄹ. 아들러(A. Adler) - 집단무의식

 


단어 풀이

  • 자기실현 경향성: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하는 경향성.
  • 비합리적인 신념: 논리적이지 않으며 현실과 맞지 않는 믿음.
  • 행동조성: 행동을 점진적으로 강화하여 원하는 행동을 이끌어내는 과정.
  • 집단무의식: 인간의 무의식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기억과 이미지를 의미.

 

해설

이제 각 학자와 개념의 연결이 맞는지 알아보겠습니다.

ㄱ. 로저스(C. Rogers) - 자기실현 경향성

  • 옳습니다. 칼 로저스는 인간이 본래 선하며 자기실현을 향해 나아가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ㄴ. 벡(A. Beck) - 비합리적인 신념

  • 틀렸습니다. 비합리적인 신념은 엘리스(A. Ellis)의 인지치료 이론에 해당하는 개념입니다. 벡(Aaron T. Beck)은 인지치료에서 자동적 사고와 인지왜곡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ㄷ. 반두라(A. Bandura) - 행동조성

  • 틀렸습니다. 반두라는 사회학습이론으로 유명하며, 행동조성(shaping)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에 속합니다.

ㄹ. 아들러(A. Adler) - 집단무의식

  • 틀렸습니다. 집단무의식은 융(Carl Jung)의 개념입니다. 아들러는 개인심리학의 창시자로서 열등감과 사회적 관심을 중시했습니다.

정답 도출

  • ㄱ. 로저스 - 자기실현 경향성은 옳습니다.
  • ㄴ, ㄷ, ㄹ는 틀린 연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 ①

 

참고

올바른 연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 ㄱ. 로저스(C. Rogers) - 자기실현 경향성
  • ㄴ. 엘리스(A. Ellis) - 비합리적인 신념
  • ㄷ. 스키너(B. Skinner) - 행동조성
  • ㄹ. 융(Carl Jung) - 집단무의식


문제 6

 

아들러(A. Adl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성격은 점성원리에 따라 발달한다.

② 개인의 창조성을 부정한다.

③ 무의식적 결정론을 고수하고 있다.

④ 유전적ㆍ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을 배제한다.

⑤ 인간을 목표지향적 존재로 본다.


단어 풀이

  • 점성원리: 특정한 순서나 단계에 따라 성격이 발달한다는 이론.
  • 창조성: 개인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능력.
  • 무의식적 결정론: 인간 행동이 무의식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
  • 유전적 요인: 인간의 행동과 성격이 유전적으로 결정된다는 믿음.
  • 목표지향적 존재: 인간이 특정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행동한다는 관점.

해설

이제 각 보기를 살펴보면서 어떤 것이 옳은 설명인지 알아보겠습니다.

① 성격은 점성원리에 따라 발달한다.

  • 이 설명은 틀렸습니다. 점성원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주로 언급됩니다. 아들러는 점성원리를 따르지 않습니다.

② 개인의 창조성을 부정한다.

  • 이 설명도 틀렸습니다. 아들러는 개인의 창조성을 인정하며, 개인이 자신의 삶을 창조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③ 무의식적 결정론을 고수하고 있다.

  • 이 설명도 틀렸습니다.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무의식적 결정론을 반대하고, 인간의 행동이 의식적이고 목표지향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④ 유전적ㆍ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을 배제한다.

  • 이 설명도 틀렸습니다. 아들러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 다만, 그는 개인의 창조적 능력과 목표지향성을 더 중시했습니다.

⑤ 인간을 목표지향적 존재로 본다.

  • 이 설명은 옳습니다. 아들러는 인간이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행동하는 목표지향적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이는 그의 이론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정답 도출

아들러의 이론에서 인간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하는 목표지향적 존재로 본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정답: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