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노베이스를 위한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다운 및 해설 24년 1번 문제

by 미니멀 블로그 2024. 6. 1.

 

2024년 제22회 사회복지사1급 자격시험 최종확정정답.pdf
0.06MB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1교시 A형.hwp
0.11MB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2교시 A형.hwp
0.08MB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3교시 A형.hwp
0.08MB

출처 : 큐넷


문제 1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스키너(B. Skinner) 이론은 행동결정요인으로 인지와 정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② 융(C. Jung) 이론은 중년기 이후의 발달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였다.
③ 에릭슨(E. Erikson) 이론은 생애주기별 실천개입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④ 프로이트(S. Freud) 이론은 인간행동의 무의식적 측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⑤ 매슬로우(A. Maslow) 이론은 인간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문제에 나온 단어 풀이

  • 인간발달이론: 인간이 태어나서 성인이 될 때까지의 발달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
  •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개인, 가족, 그룹, 지역사회)를 돕기 위해 실제로 수행하는 활동.
  • 스키너(B. Skinner): 행동주의 심리학자로, 행동이 강화와 처벌을 통해 학습된다고 주장한 학자.
  • 행동결정요인: 행동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
  • 인지: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정신적 과정.
  • 정서: 기쁨, 슬픔, 분노와 같은 감정 상태.
  • 융(C. Jung): 분석심리학의 창시자로, 성격과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심리학자.
  • 중년기: 대략 40세에서 65세 사이의 시기.
  • 에릭슨(E. Erikson):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을 제안한 심리학자, 인간의 생애를 8단계로 구분.
  • 생애주기: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삶의 주기.
  • 프로이트(S. Freud):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무의식과 꿈의 중요성을 강조한 심리학자.
  • 무의식: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마음의 영역.
  • 매슬로우(A. Maslow): 욕구위계 이론을 제시한 심리학자,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구분.
  • 욕구: 인간이 본능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

해설

사회복지 실천에서 인간발달이론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이론은 인간의 발달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사회복지사들이 클라이언트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기여합니다.
 
스키너(B. Skinner) 이론:
스키너는 행동주의 심리학자이며, 그의 이론은 행동의 결과에 따라 행동이 강화되거나 약화된다고 설명합니다. 인지와 정서의 중요성보다는 강화와 처벌의 원리를 중시합니다. 따라서 "행동결정요인으로 인지와 정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계기"라는 설명은 스키너의 이론과 맞지 않습니다.
 
융(C. Jung) 이론:
융은 성격 발달과 무의식을 연구했으며, 특히 중년기 이후의 심리적 발달을 설명하는데 기여했습니다. 이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중년기 클라이언트를 이해하고 지원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에릭슨(E. Erikson) 이론:
에릭슨은 인간의 생애를 8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의 심리사회적 과제를 설명했습니다. 이는 사회복지사가 생애주기별로 클라이언트를 이해하고 개입하는 데 유용한 이론입니다.
 
프로이트(S. Freud) 이론: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의 무의식적 동기와 갈등을 분석했습니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심리적 문제를 깊이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됩니다.
 
매슬로우(A. Maslow) 이론:
매슬로우는 욕구위계 이론을 통해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설명했습니다. 이는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중요한 이론입니다.


해설에 나온 단어 풀이

  • 행동주의 심리학자: 인간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행동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된다고 주장하는 심리학자.
  • 강화: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긍정적 자극을 제공하는 과정.
  • 처벌: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부정적 자극을 제공하는 과정.
  • 성격 발달: 개인의 성격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
  • 심리적 발달: 인간의 마음이 성장하고 변하는 과정.
  • 심리사회적 과제: 각 생애 단계에서 개인이 해결해야 하는 주요 과제나 도전.
  • 심리적 문제: 정신적, 감정적, 행동적 어려움이나 장애.
  • 욕구위계 이론: 인간의 욕구를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에서부터 자아실현 욕구까지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정답

정답: ①
스키너의 이론은 인지와 정서보다는 행동의 강화와 처벌을 중시하기 때문에, "행동결정요인으로 인지와 정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계기"라는 설명은 스키너의 이론과 맞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