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홍석천매장도 결국 정리하게 된 이유는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란?]에 대해 알아보기

by 미니멀 블로그 2019. 12. 30.

어제 기사에 홍석천씨가 이태원 음식점을 폐업했습니다. 홍석천씨는 낙후된 이태원을 발전시키고 키웠다고해도 무방할정도로 이태원의 대명사입니다. 하지만 결국 문을 닫게 되었다고 기사로 알리게 되었습니다. 기사에서는 “홍석천이 이태원에서 14년 동안 운영했던 태국 요리 전문점을 정리한다고 밝혔다.”라고 말하며


"이태원 마이타이를 사랑해주신 분들께 감사하다"며 "저를 오늘에 있게 해준 정말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마이타이가 오는 9일까지만 영업을 하고 문을 닫는다"는 글을 게재했다고 합니다.

홍석천씨는 “마음이 참 슬프다"며 "하나하나 제가 다 만들어 놓은 공간인데, 돈을 떠나 이 공간을 거쳐간 모든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고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

홍석천씨는 낙후된 이태원에 식당을 개업해 성공한 사업가의 면모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이태원에만 10여 개 매장을 운영하며 상권이 알려지는데 공을 세웠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홍석천씨의 이력을 살려 '이태원 홍반장'이라는 프로그램이 제작되기도 했습니다.


결국 홍석천씨도 이태원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둥지 내몰림)을 피해가지 못했습니다.이태원이 경리단길 등으로 유명세를 타면서 임대료가 급등했고, 이태원 상권을 만든 특색있는 가게들이 떠나가게 된 것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란?
낙후된 지역에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에 대한 ㅎ정의를 찾아보면 지주계급 또는 신사계급을 뜻하는 젠트리(gentry)에서 파생된 용어라고 합니다.
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Ruth Glass)가 처음 사용하였고, 글래스는 런던 서부에 위치한 첼시와 햄프스테드 등 하층계급 주거지역이 중산층 이상의 계층 유입으로 인하여 고급 주거지역으로 탈바꿈하고, 이에 따라 기존의 하층계급 주민은 치솟은 주거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살던 곳에서 쫓겨남으로써 지역 전체의 구성과 성격이 변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결국 홍석천씨도 이태원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둥지 내몰림)을 피해가지 못했습니다.이태원이 경리단길 등으로 유명세를 타면서 임대료가 급등했고, 이태원 상권을 만든 특색있는 가게들이 떠나가게 된 것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는 단계는 3단계가 있습니다.

1단계는 상권이 아직 형성되지 않아서 임대료가 저렴한 지역에 개성있는 상점들이 들어온다. 상점들은 SNS를 통해 입소문을 타면서 그 지역 유동인구가 느는 데 큰 역할을 한다. 기존의 건물주들은 임대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임대료를 높이는 한편, 높은 수익률을 제시하며 매각을 고려한다. 이때 기존 건물주는 외부 투자자에게 건물을 파는 방식을 선호한다. 그 이유는 직접 운영하는 임차인에게 파는 것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팔 수 있기 때문이다.

2단계는 두 번째 건물주 혹은 유명 프랜차이즈점들은 투자금을 만회하기 위해 임대료를 대폭 올린다. 때에 따라서 건물주들은 이 지역을 단기간에 뜨는 거리로 만들기 위해 기자들에게 홍보를 부탁하기도 한다.

3단계는 비싼 임대료 때문에 버티지 못한 기존 임차인들이 나가고 새 임차인들이 들어오는 단계입니다. 기존 임차인들은 다시 상권이 개발되지 않은 지역을 찾아 옮기는 것을 반복해야 합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 일어나는 과정은 대도시의 교외화(郊外化) 현상과 관련이 있다. 도시의 발전에 따라 대도시일수록 중심 시가지에서 도시 주변으로 거주 인구가 확산하는 교외화 과정이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교외 지역은 자본이 집중 투여되면서 발전하는 반면, 도심에 가까운 지역은 교외로 이주할 여력이 없는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낙후지역으로 전락한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재개발을 주도하는 경우도 있고, 저렴해진 지대(地代)에 주목한 개발업자들이 지주와 결합하여 개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값싼 작업공간을 찾아 낙후지역에 모여든 예술가들이 다양한 활동을 펼침으로써 활성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한 '도시 재활성화'의 결과로 해당 지역은 주거 환경이 향상되고 부동산 가격 등 전반적인 자산 가치가 상승하지만, 그에 따라 주거 비용도 높아져서 원래의 저소득층 주민들은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거주지에서 밀려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