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가구의 생활수준에 따라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선정기준을 다층화하여, 소득이 일부 증가하더라도 필요한 도움을 계속 지원하며, 부양의무자 기준을 대폭 완화하여 부양의무자로부터 부양받기 어려운 분들을 지원합니다.

 

□ 어떻게 바뀌었나요?

 

[표::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변경 전/후]※ 선정기준, 급여수준, 부양의무자 소득기준 변경내용구분2021년2022년
선정기준

  • 생계 : 중위소득 30%
  • 의료 : 중위소득 40%        
  • 주거 : 중위소득 45%
  • 교육 : 중위소득 50% 
  • 생계 : 중위소득 30%
  • 의료 : 중위소득 40%
  • 주거 : 중위소득 45%→46%
  • 교육 : 중위소득 50%  
급여수준
  • 생계급여 : 4인기준 최대 1,463천원(2.7% 인상)
  • 의료급여 : 급여대상 항목 의료비중 본인부담금액을 제외한 금액                               
  • 주거급여 : 지역별 기준 임대료 적용
    - 서울(1급지) : 최대 480천원(4인기준) 
  • 교육급여 : 교육활동지원비(초 286천원, 중 376천원, 고 448천원) 
  • 생계급여 : 4인기준 최대 1,536천원(5.02% 인상)
  • 의료급여 : 급여대상 항목 의료비중 본인부담금액을 제외한  금액            
  • 주거급여 : 지역별 기준 임대료 적용 
    - 서울(1급지) : 최대 506천원(4인기준)
  • 교육급여 : 교육활동지원비(초 331천원, 중 466천원, 고 554천원)                                                
부양의무자 소득기준
(수급자2인, 부양의무자4인 경우)          
  • 부양능력있음 : 612만원
  • 부양능력없음 : 488만원
    * 노인, 법정한부모가족,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 포함된 가구의 경우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 부양능력있음 : 643만원
  • 부양능력없음 : 512만원
    * 부양의무자 기준 의료급여만 해당

* 기준 중위소득이란? 전국의 모든 가구를 소득별로 순위를 매겼을 때, 한가운데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으로 급여종류별 선정기준과 생계급여 지급액을 정하는 기준이고,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됨

 

 

□ 알아보아요!

 

○ 어떻게 신청하면 되나요?
  - 거주지 동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상담 및 신청(연중 수시)가능합니다.
  - 통합급여(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신청 또는 개별급여 신청 가능합니다.

   * 통합급여 신청의 장점
    • 현재 선정기준에 맞지 않아 지원을 받지 못하더라도 추후에 제도나 생활실태 변경으로 지원이 가능해지면, 별도의 추가 신청없이도 재조사하여 선정기준에 맞는 급여 지원
    • 기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별도 신청 불필요

○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 기본제출서류 :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 가구특성에 따라 추가서류 제출 필요

○ 누가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사람으로서 소득인정액이 급여종류별 선정기준 이하인 사람
    * 생계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는 부양의무자 부양능력 판정기준을 적용하지 않음  1) 소득인정액 기준 : 소득인정액이 급여별 선정기준 이하

     * 소득인정액= 소득평가액(실제소득-가구특성별 지출비용-근로소득공제) + 재산의 소득환산액[(재산-기본재산액-부채)*소득환산율] 평가·환산한 금액

【2022년도 기준중위소득 및 가구규모별·급여종류별 수급자 선정기준】

[표::2022년도 수급자 선정기준]※ 기준중위소득 및 가구규모별·급여종류별 수급자 선정기준(단위:원)
           가구규모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2022년 기준중위소득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생계급여 선정기준
(기준중위소득 30%이하)
583,444 978,026 1,258,410 1,536,324 1,807,355 2,072,101 2,334,178
의료급여 선정기준
(기준중위소득 40%이하)
777,925 1,304,034 1,677,880 2,048,432 2,409,806 2,762,802 3,112,237
주거급여 선정기준
(기준중위소득 46%이하)
894,614 1,499,639 1,929,562 2,355,697 2,771,277 3,177,222 3,579,072
교육급여 선정기준
(기준중위소득 50%이하)
972,406 1,630,043 2,097,351 2,560,540 3,012,258 3,453,502 3,890,296

  2) 부양의무자 기준

  • 부양의무자 범위 : 수급권자의 1촌의 직계혈족 및 그 배우자. 단, 사망한 1촌의 직계혈족의 배우자는 제외(아들⋅딸 사망시, 며느리⋅사위는 부양의무자 범위에서 제외)
  • 부양의무자 기준이 적용되는 수급자 종류
    - 적용 : 의료급여
    - 미적용 : 주거급여⋅교육급여⋅생계급여(단, 부양의무자  연 소득 1억원 또는 일반재산 9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생계급여 대상에서 제외)
  • 부양의무자 기준 충족
    - 부양의무자가 없는 경우
    -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는 경우
    - 부양의무자가 부양능력이 미약한 경우로 수급권자에 대한 부양비 지원을 전제로 부양능력이 없는 것으로 인정하는 경우
    -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2.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 서울형 기초보장제도란?

 

생활수준은 어려우나 법정요건이 맞지 않아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비수급 빈곤층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자 기준 및 선정방식

 

신청일 현재 신청가구의 세대주 주민등록이 서울시에 등록된 자로 신청인의 소득, 재산기준이 동시 충족되어야 합니다.

본인, 친족 및 기타 관계인이 거주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가구원 및 부양의무자에 대한 소득과 재산 조사를 통해 선정 여부가 결정됩니다.

1. 소득기준
  • 소득평가액이 기준중위소득 45% 이하

     ※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단위 : 원)

구 분 보장가구 소득평가액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중위소득 45% 875,165 1,467,038 1,887,615 2,304,486 2,711,032 3,108,152  

                                                                            

2.  재산기준 
  • 1억 3천5백만원 이하(일반재산 + 자동차 + 금융재산 -  부채)

     ※  선정제외

        - 자동차 :  1) 배기량 2,000cc 이상 승용자동차(생업용)

                       2) 2,000cc 미만 승용자동차 중 차령 10년 미만인 차량

        - 금융재산 : 3천만원 초과자

           (단,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보험은 금융재산에서 제외하되, 일반재산에 포함하고, 최근 1년 이내 지급된 보험일시금은 금융재산으로 적용)

3.  부양의무자 기준 : 21년 5월부터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 폐지

        - 단, 부양의무자가 소득(연1억원)· 재산(9억원)이 있는 경우에는 부양의무자 기준 적용

    ※ 부양 의무자의 범위 :  1촌의 직계혈족(부모, 아들, 딸) 및 배우자(며느리, 사위)

4.  신청기간 : 연중5.  신청방법 : 본인, 친족 및 기타관계인이 거주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어떤 혜택을 받게 되나요?

 

급여의 종류로는 생계, 해산, 장제급여가 있습니다.

1. 생계급여
  • 소득대비 차등급여

       - 최대지원액 : 맞춤형 생계급여의 1/2 수준, 최소지원액 : 최대지원액의 1/3 수준

       - 지원급여액 = 가구규모별 최대급여액 - (0.22 × 해당가구 소득평가액)

         ※ 계수는 매년 고시되는 기준 중위소득 값에 따라 변동됨

(단위 : 원)

구 분 1 2 3 4 5 6
최대
지원
소득평가액 0 0 0 0 0 0
생계급여 291,722 489,013 629,205 768,162 903,678 1,036,051
최소
지원
소득평가액 875,165 1,467,038 1,887,615 2,304,486 2,711,032 3,108,152
생계급여 97,241 163,004 209,735 256,054 301,226 345,350

2. 해산급여

  • 1인당 70만원, 추가 출생영아 1인당 70만원 추가 지급(기초생활수급자와 동일)
3. 장제급여
  • 사망시 1인당 80만원 지원(기초생활수급자와 동일 수준)

※ 기타 신청과 관련된 세부내용은 주소지 동 주민센터 복지담당공무원과 상담을 통해 처리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서울시.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003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news.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