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방정부 차원의 공공보건의료 싱크탱크인 '공공보건의료재단'을 출범했습니다. 정책 개발은 물론 시립병원과 보건소 등과 연계해 기존의 치료 중심이 아닌 예방 중심의 보건 인프라 구축이 목표입니다.

또한 서울시 관계자는 "재단 설립의 핵심은 정책연구를 강화해 공공성을 높이고 공공보건의료와 민간의료간 거버넌스 플랫폼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보건소나 병원 차원에서 파악하기 힘든 정보를 제공해 보건의료정책에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메르스 극복과 환자안심병원으로 공공의료를 선도해 온 서울시가 이번 재단 출범으로 100세 시대 의료체계를 만든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공공보건의료재단은 서울시의 보건의료 정책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13개 시립병원과 25개 보건소를 총괄 및 시가 7억원을 출연해 설립한 재단의 한해 예산은 40억원 안팎이 될 전망입니다.


이 예산은 들여 우선 서울 보건의료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재단은 시민 의료이용 데이터, 시립병원·보건소 통계 등을 분석해 계층·지역간 건강격차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보건의료계획, 지역보건의료계획 등 중장기 종합계획을 세울 예정입니다.

 

 

컨설팅을 통한 시립병원 공공성 강화도 재단 출범 초기 주요 사업중 하나다. 재정자립도와 시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현재 서울의료원 등 13개 시립병원의 예산은 시 보조금 1200억원을 포함해 연간 5700억원에 달하지만 재정자립도는 66.3%다.

 

 


재단 설립으로 시립병원과 보건소·지소·분소 등 60여개 서울지역 공공보건의료은 물론 병원과 복지기관간 협력 의료서비스가 가능해질지 여부도 관심사입니다. 재단은 병원과 보건소, 복지기관, 사회복귀시설 등을 연계할 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통해 예방·검진부터 치료이후 재활·관리까지 연속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게다가 박 시장은 또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인 정부의 감염병 대응단계를 서울시의 상황에 맞게 세분화해 '경계'와 '심각'을 각각 1·2단계로 나누고 '회복기' 단계를 따로 만들어 7단계로 나누겠다고 설명했다.

 

 

메르스 극복 후속 대책, 환자안심병원 등 보건의료정책을 선도해 왔으나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라 의료서비스를 치료 중심에서 예방적 건강관리체계로 전환하고 전국에서 가장 많은 시립병원(13개), 보건소(25개) 등 보건인프라 운영에 전문성을 확보해 시민 체감도를 높이고자 재단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①서울시 공공보건의료 구현을 위한 씽크탱크
②지역사회 거버넌스 플랫폼 구축
③공공보건의료 역량 지원 기능에 주력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공공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키로 했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전 국민이 공공의료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공공의과대학 설립의 적기"라며 정부와 다른 지자체 등과 긴밀히 협의해 설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의대 체제에서 인력확보가 어려운 응급 외상, 감염성질환 역학조사, 호스피스 등 공익성이 강한 특수 분야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입니다.

박 시장은 또 서초구 원지동 종합의료시설 부지를 활용해 종합병원과 국내·외 공공의료 관련 R&D(연구개발) 기관을 설치·이전하는 등 '서울시 공공의료타운'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